카테고리 없음

ESFJ와 ISFP 최고관계 루머정리

Pongdang 심리 전문가 2023. 3. 11. 14:13

소시오닉스 관계 전체

*반대 관계: 일대일 대화에 편안함을 느끼나, 자아기능을 표현하면 할수록 자신의 심리적 기능이 상대의 불편한 성격 측면(기능)에 해당하기에 자세한 대화와 생활에 어려움도 있는 관계. 친구 관계일 때 대화가 편함. ISFP(기능론) 문서에 상세 표시.

반대 관계는 성격기능이 반대되어 성격이 정반대되는 관계를 말합니다.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관계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관계가 케바케라 절대 진리가 될 수 없으니 세상에 있는 지식정도로 아시면 좋겠습니다.

*본 글에서 언급하는 소시오닉스 유형과 MBTI유형은 다르며 이론상으로 심리적 기능을 통해 유형이 해석됨을 알려드립니다. 소시오닉스 유형은 알파벳 문자가 소문자(j/p)로 표기되며 MBTI유형은 대문자(J/P) 표기되니 참고해주세요.
반대 관계: ESFj 소시오닉스 유형 (성격기능: Fe-Si-Ne-Ti) - ISFj 소시오닉스 유형 (성격기능: Fi-Se-Ni-Te)
ESFj 소시오닉스 유형은 ESFJ유형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기능인 Fe-Si 심리적 기능을 사용하기에 ESFJ유형으로 보면 되며, ISFj 소시오닉스 유형은 ISFP유형의 심리적 기능인 Fi-Se심리적 기능을 사용하므로 ISFP MBTI유형으로 보면 된다.
본 내용은 이론적으로 해석했다.



ESFJ & ISFP 궁합은 거울 관계가 아닙니다.
푸슝 궁합 관련: https://pushoong.com/MBTI/relationship/ISFP-ESFJ

인터넷에 ESFJ와 ISFP가 거울 관계라는 정보가 나와있는데, ESFJ와 ISFP는 실제로는 반대 관계이고 유형이 혼동의 여지가 있어 오류가 나온 것을 반영한 자료이다.

상황이 어찌된 건지 설명해보자면, 사회인격학 유형은 맨 끝글자인 j가 소문자로 되어있고, MBTI유형은 맨 끝글자인 J가 대문자로 되어있다. 그래서 사회인격학 유형은 INTj 라고 표시되며, MBTI유형은 INTP라고 표시된다. 사람들은 이러한 유형 속에 내재된 소문자와 대문자의 차이와 진실을 알지 못했다.

사람들은 사회인격학 유형과 MBTI유형이 겉모습만 흡사할뿐, 실제로는 전혀 다른 유형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문자 그대로 사회인격학 유형을 해석해서 관계론을 인터넷에 알렸으며 이는 왜곡되게 해석한 것과 같다. 그래서 인터넷에는 오류난 관계론이 알려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푸슝 ESFJ&ISFP 관계에서는 대부분 둘 사이의 주된 문제는 각자의 판단(J)과 인식(P)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고 나와있는데 판단(J)과 인식(P)의 차이로 발생한다 는 이 문장은 잘못 번역한 것이고 캡쳐한 아래의 관계 분석 원본에 따라 원본인 "이러한 관계에서 가장 큰 불편함은 파트너간의 각자의 판단과 인식의 차이로 발생한다"를 바르게 해석하자면 서로 다른 판단기능(Fe, Fi, Te, Ti)과 인식기능(Se, Si, Ne, Ni)으로 인한 차이나는 판단과 인식 방식을 의미한다. 원본도 이와 같지 않은데 원본은 이 문장이 아니라 아래 캡쳐한 사진과 같다.


구글 크롬 자동번역에 의해 번역된 소시오닉스 홈페이지 캡쳐
오해의 여지가 있는 관계론


또 푸슝 궁합에서 언급한 J(판단)과 P(인식)은 생활 양식일뿐, 성격차 갈등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 점을 고려해보자면 푸슝 궁합에서 J/P지표를 잘못 썼다는 게 보인다. 상관없는 J/P 지표가 궁합에 쓰였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푸슝 궁합에서는 ESFJ와 ISFP의 궁합을 잘못썼다.
푸슝 궁합내용처럼 서로의 판단(J)/인식(P) 지표가 각자 다른 궁합(ESFJ-ISFP)이 거울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판단(J)/인식(P) 지표가 겹치는 궁합(ESFP-ISFP)이 거울 관계이다.

최고궁합이 아닙니다.
1. 궁합표가 일부 유형의 상극이 없는 엉터리 표이다.
궁합표

2. 사회인격학 이론에서 ESFJ와 ISFP는 정반대의 관계이다. 다시 말해, 그들은 나쁜 관계에 속해 있다.

3. 두 사람은 서로 다른 방향인 4개의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하나의 동일한 통신 기능이 아니다. 이는 이들이 같은 관점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론적 견해]

4. 한 사람이 외향적 기능을 통해 외부 과정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다른 하나는 내향적 기능을 통해 내부 상태에 집중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그 결과, 이들이 같은 문제를 반대되는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서로를 이해하고 동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는 때로는 창의적인 연구에 도움이 된다. [이론적 견해]

5. 이들은 동일한 문제를 전혀 다른 관점에서 본다. 한 사람이 사물의 외적 특성을 관찰한다면, 다른 사람은 그 사물의 내적 특성을 관찰한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의 경우에는 기능이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마치 그들이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 것 같다. 따라서 의사소통은 다소 피상적이게 된다. 이들은 종종 매력을 느끼는데, 이는 주로 그들의 상호 호기심을 부채질하는 미스터리 때문이다.  [이론적 견해]

6. 이들은 반대 방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그들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보면 한 사람이 외부적으로 보는 것은 다른 한 쪽이 내부적으로 본다. 이것은 오해로 이어진다.  [이론적 견해]

7. 같은 종류의 것에 관심을 갖는 것이 특징이지만, 그들은 근본적으로 다르고 종종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그것에 접근한다.  [이론적 견해]

8. Fi 대 Fe: ISFP는 개인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반면 ESFJ는 사회적 조화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ISFP는 ESFJ를 위압적이거나 잘못 인도된 것으로 볼 수 있고 ESFJ는 ISFP를 자기 흡수적이거나 비합리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Se 대 Si: ISFP는 창의적인 탐색을 즐기는 경향이 있는 반면 ESFJ는 친숙하거나 확립된 방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ISFP는 ESFJ를 지루하거나 까다롭다고 볼 수 있고 ESFJ는 ISFP를 예측할 수 없거나 충동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Ni 대 Ne: ISFP는 Ni를 방어적으로 사용하여 외부 통제에 저항할 수 있으며, 이는 ESFJ를 완고하거나 답답한 것으로 비난할 수 있다. ESFJ는 Ne를 방어적으로 사용하여 ISFP를 비합리적이거나 완고하다고 비난할 수 있으며 비판을 회피할 수 있다. Te 대 Ti: ISFP는 계획과 구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ESFJ를 부주의하거나, 무질서하거나, 게으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ESFJ는 자제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ISFP를 예측할 수 없거나 일관성이 없거나 위선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ESFJ는 ISFP보다 외향적이거나 사교적인 경향이 있다.

9. 이 관계에서는 완전한 이해를 얻기가 어렵다. 상호 이익과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종종 사소한 세부 사항에 대해 논쟁하며 너무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이들이 함께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한 상당한 지원을 찾기는 어렵지만 의견, 제안 및 요청을 교환하는 것은 항상 흥미롭다.  [이론적 견해]

10. 외국의 이상적인 짝 이론에도 소시오닉스 이론 왜곡으로 인해 이와같은 정보가 잘못 쓰여 있다.